유통회사 알바생 종수는 배달을 갔다가 어릴 적 같은 동네에서 살았던 해미를 만나고, 그녀에게서 아프리카 여행을 간 동안 자기가 키우는 고양이를 돌봐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여행에서 돌아온 해미는 아프리카에서 만난 벤을 종수에게 소개한다. 어느 날 벤은 해미와 함께 종수의 집으로 찾아와 자신의 비밀스러운 취미에 대해 고백한다. 그때부터 종수는 무서운 예감에 사로잡히게 된다.
<버닝>은 삶이라는 거대한 미스터리에서 출발한다. 장르의 구조와 장치를 취해서가 아니라 영화가 인식하는 세계의 상태와 작동의 원리 그 자체가 의문투성이다. 그렇기에 존재의 유무,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현실과 가상, 픽션과 논픽션과 같은 이분의 경계는 이 세계를 이해하는 데 방해될 뿐이다. <버닝>은 그저 종수의 의식의 흐름에 올라타라 한다.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고, 아버지가 남긴 파주의 낡은 집을 지키며, 자기만의 소설을 쓰려는 종수. 친구 해미와의 재회가 불씨가 됐을까. 해미가 소개한 의문의 남자 벤이 불쏘시개가 됐을까. 비밀스러운 해미와 벤 사이에서 종수는 질투심과 열패감, 불안과 좌절, 의문과 자기 확신의 정념에 휩싸이더니 급기야 돌이킬 수 없는 일까지 벌이고 만다. 절멸 혹은 절연인가. <버닝>이 멈춰선 그곳이야말로 감독이 바라보는 세계의 잠정적 지경일 것이다. [정지혜]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