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제목 | 출판연도 |
|---|---|---|
| 1 | 차이밍량-행자 연작 | 2024 |
| 2 | J 매거진(2024) | 2024 |
| 3 | J 매거진(2023) | 2023 |
| 4 | 전주에서 2023 | 2023 |
| 5 | JEONJU Cinema Project 프로듀서로서의 영화제를 꿈꾼 10년 | 2023 |
| 6 | 영화는 질문을 멈추지 않는다(이창동, 빛에서 길어 올린 삶) | 2022 |
| 7 | 보더리스 스토리텔러(무빙 이미지의 경계를 확장해 나가는 8인의 예술가들) | 2022 |
| 8 | 위대한 유산: 태흥영화 1984-2004 | 2022 |
| 9 | J 매거진(2022) | 2022 |
| 10 | 영화는 무엇이 될 것인가? 영화의 매리를 상상하는 62인의 생각들 | 2021 |
| 11 | 아이 엠 인디펜던트 - 주류를 넘어, 7인의 여성 독립영화 감독 | 2021 |
| 12 | J 매거진(2021) | 2021 |
| 13 | 퀘이 형제 입문: 스톱 모션, 도미토리움, 드로잉 | 2020 |
| 14 | 작가 송길한 | 2017 |
| 15 | 발리우드 너머의 영화들 BEYONF BOLLYWOOD | 2013 |
| 16 | 전주낭독(소리 내어 천 년의 골목들을 호명하다) | 2013 |
| 17 | 제14회 전주국제영화제 시나리오 선집(숏!숏!숏! 2023 소설, 영화와 만나다) | 2013 |
| 18 | 에드가르도 코자린스키의 세 개의 이야기 | 2012 |
| 19 | 키들랏 타히믹 | 2011 |
| 20 |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 | 2009 |
| 21 | 스리랑카 영화 | 2009 |
| 22 | 페레 포르타베야 | 2009 |
| 23 | 전주국제영화제 10년을 돌아보며 | 2009 |
| 24 | 전주, 느리게 걷기 | 2009 |
| 25 | 벨라 타르 | 2008 |
| 26 | 중앙 아시아 영화 | 2008 |
| 27 | 알렉산더 클루게 | 2008 |
| 28 | 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6 - 탈정치화 세대의 영화 | 2008 |
| 29 | THE MAGIC OF CINEMA 전주 매그넘 영화 사진전 | 2008 |
| 30 | 피터 왓킨스 | 2007 |
| 31 | 터키 영화 | 2007 |
| 32 | 하룬 파로키 | 2007 |
| 33 | 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5 - 환상, 장르, 시선 | 2007 |
| 34 | 리트윗 가탁 | 2006 |
| 35 | 저항의 알레고리 - 소비에트 연방의 금지된 영화들 | 2006 |
| 36 | 피터 체르카스키 | 2006 |
| 37 | 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4 - 자아, 환상, 정치적 퍼포먼스 | 2006 |
| 38 | 전주가 만난 영화음악가들 | 2006 |
| 39 | 소마이 신지 | 2005 |
| 40 | 해가 지는 곳 마그렙 영화 - 모로코, 튀니지 영화를 중심으로 | 2005 |
| 41 | 피터 쿠벨카: 영화의 본질 | 2005 |
| 42 | 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3 - 타자, 다이어리, 멜로드라마 | 2005 |
| 43 | 2005 전주국제영화제 영화음악감독 마스터클래스 강연 녹취록 | 2005 |
| 44 | 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2 - 이미지와 사운드, 정치학, 관계들 | 2004 |
| 45 | 촬영감독 마스터클래스 세컨드 세션 강연 녹취록 | 2004 |
| 46 | ATG 영화의 발자취: <닌자 무예장>에서 <역분사 가족>까지 | 2004 |
| 47 | 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 작가, 여성, 디지털 | 2003 |
| 48 | 한국 인디 애니메이션 워크숍 | 2002 |
| 49 | 상흔과 기억 - 한국전쟁과 한국영화 | 2002 |
| 50 | 한국 단편의 선택 : 비평가 주간 | 2002 |